2015. 5. 8. 12:10

6 성격과 발달(성인기 이후)

6 성격과 발달(성인기 이후)

 

발달(development)이라는 단어의 어감상 아무래도 청년기 이후(성인기)의 인간의 변화를 발달이라고 하기에는 어색하다는 생각을 할 수 도 있지만 그렇다고 나이 듦(aging), 원숙함(maturing)이라는 표현도 어색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방향과 속도는 개인에 따라 다를지라도 모두 변화를 겪게 되고 그때 그때 과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다는 의미에서는 성인기 이후에도 발달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쓰는 것이 타당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1.     성인기 이후의 성격 특성

 

 지금까지 성격은 인지, 정서, 행동의 비교적 영속적인 패턴이라고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20~30년 간의 성격에 관한 종단연구가 진행되어, 성격 특성이 시간의 경과에도 안정적이기는 하지만 결코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라는 증거도 확인하였습니다. 지금은 환경자극에 반응하여 비교적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인지, 정서, 행동을 통제하는 것으로 성격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Roberts: 2009). 여기서는 성격과 자존감(self-esteem) 등의 일관성에 관한 종단연구를 포함하여 성격의 안정적인 측면과 연령에 따른 변화 측면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1. 성격과 그 안정성

 

 종래의 발달연구에 있어서 성격의 일관성은 개인이 집단 안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의 안정성(rank-order consistency)’으로 정의되어 왔습니다. 예를 들면 정규분포를 나타내는 특성불안의 척도점수에 있어서 고득점에 위치하는 사람은 집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불안경향이 강한 사람이라고 하여, 그 집단 내에서의 위치가 변하기 어렵다는 것을 가지고 특성불안은 일관성이 있다 라고 인정하였습니다. 확실히 성격특성의 집단 내의 위치는 장기간에 걸쳐 변화하기 어렵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성격이 결코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고 인생의 긴 경로를 거치면서 변화할 여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성격의 변화는 일정한 기간이나 특정한 연령대에 있어서, 어떤 특정 성격요소의 집단 평균이 다른 시기의 집단 평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 집단의 평균수준 변화(mean-level change)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외향성이라는 성격특성은 대학생의 경우,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하여 약간 점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집단의 평균수준 변화는 성격의 연령에 따른 발달연구에 있어서 정상적인 생물학적 에이징변화(normative-changes)에 의한 성격 성숙의 지표로서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성격의 연령에 따른 변화는 중년기와 고령기에 자주 경험하는 사건이나 역할의 변화에 의해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 성격의 안정성에 관한 상대적인 위치의 안정성집단의 평균수준 변화라는 2 종류의 개념은 동일한 종단연구에서 동시에 존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처럼 성격의 안정성에 관한 다양한 접근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상대적 위치의 안정성분석 또는 집단의 평균수준 변화분석이라고 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추가하여 개인이 각종 성격특성에서 보여주는 변화 정도(individual level change’개인의 성격특성 프로파일 형상의 변화(ipsative stability-피험자 내 안정성)’를 포함하는 4 가지 측면의 성격 안정성(traits consistency)이 포괄적을 다루어 지고 있습니다(Roberts & DelVecchio, 2000).

 

1 2. 성격 특성의 안정성

 

 상대적인 위치의 안정성은 일반적으로 일정기간을 사이에 두고, 여러 번, 동일한 성격 질문지를 동일 집단에 조사하여(검사-재검사 법), 두 번의 상관계수를 계산하여 평가합니다. 1차 테스트와 2차 테스트 간의 상관계수가 높으면 집단 내의 개개인의 위치관계가 안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것은 개개인의 성격 특성이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또는 개개인의 특성은 시간경과에 따라 변한다 하더라도 그 변화양상은 집단 내에서 일정하다하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낮은 상관계수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개개인의 성격특성이 변화했다아니면 성격 특성 변화 패턴이 개인간에 차이가 있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성격이 변화하는지에 관한 종단추적연구 가운데, 이처럼 상대적인 위치의 안정성을 지표로 한 선행연구는, 50세 이후에는 각종 성격특성의 일관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Roberts & DelVecchio, 2000). 아동기에는 0.4 정도였던 검사-재검사 상관계수가 30세에는 0.5를 넘어서고 50~70세에는 0.7 정도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Trzesniewski, 2004). 또 이러한 집단 내의 상대적인 순위의 일관성은 성격 5요인 모델(Big 5)의 하위인자인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 경향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나아가 60년간의 추적 범위 내에서는 출생시기에 따른 생육환경(cohort) 차이가 성격특성 차이에 영향을 주었다는 증거는 없었습니다.

 

성격 경향이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걸쳐서 직선적으로 상대적인 위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노인기에는 변화가 없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자존감은 역U자 곡선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Trzesniewski와 동료들이 합계 7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50건의 공개논문 및 7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4 종류의 미국 내 대규모 연구, 2가지를 메타 분석한 결과, 비슷한 발달적 변화 경향이 도출되었고, 아동기에는 낮은 상관을 보이지만 사춘기, 청년기에 걸쳐서 상승하고 중년기부터 고령기에 걸쳐서는 다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에 따라 다소 편차가 있지만 전체의 경향을 곡선으로 나타내 보면 아동기에서 사춘기에 걸쳐서 0.4 정도의 낮은 상관에서 0.5 정도로 상승하고, 대학시절부터 성인기 초기까지는 더욱 상관이 높아져 20대에 걸쳐서 0.6을 넘는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후로도 완만한 상승을 보인 다음 중년기에서 고령기에 걸쳐 낮아져 상관계수는 0.5를 밑돌게 됩니다. 이러한 역U자형의 나이에 따른 변화는 조사 척도의 차이, 성별, 지역차 등에 의해서는 설명될 수 없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특히 중년기에서 고령기에 걸쳐 왜 자존감이 집단 내에서 상대적인 순위의 일관성이 약해지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가능합니다. 아동기의 상관계수가 낮은 것은 조사 척도를 변경하면 개선되기 때문에 자존감 척도가 저연령 측에 대해서는 충분한 타당성을 갖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고령기의 상관계수 저하는 중년기에서 고령기에 걸쳐서 발생하는 급격한 생활의 변화와 사회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건강상태 변화도 관여되어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른 해석으로서는 에릭슨(1980)이 주장한 것처럼 개개인 사이에 노화나 죽음을 수용 방식에 관한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자존감의 안정성이 일관되지 않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긴 생애단계를 감안했을 때, 성격특성도 자존감도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연속성과 변화의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3. 성격의 연령변화

 

집단의 평균수준을 지표로 한 성격특성의 연령에 따른 변화에 알아보겠습니다. 그 일환으로 NEO-PI-R을 사용한 연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5요인 모델의 하위인자는 신경증 경향,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조화성), 성실성의 5가지로 구성되는데 선행연구들은 각 하위 인자 별로 각기 다른 평균수준 변화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1)   신경증 경향

 

 신경증 경향은 사춘기 후기부터 고령기에 걸쳐 연령과 함께 낮아진다는 것이 수 차에 걸친 대규모 횡단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Goldberg et al., 1998; McCrae et al., 1999). 그렇지만 60대까지는 부정적 감정상태가 줄어든 다음, 확실히 증가로 돌아선다는 것도 밝혀지고 있습니다(Carstensen et al., 2000). 또 종단적 연구 결과로서는 사춘기 후기, 성인전기, 중년기에는 신경증 경향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 한편 고령기에는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Roberts et al., 2006). , 이러한 신경증 경향의 연령변화 추이는, 남성에 비하여 여성의 경우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고령기에 있어서 일관되지 않는 연구 결과는 성 역할(gender)에 따른 차이를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외향성

 

 외향성의 연령변화를 추적한 횡단연구나 종단연구의 결과는 서로 모순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습니다(Roberts et al., 2006). 나이가 듦에 따라 외향성의 저하를 보고하는 것도 있지만 변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또 대학생 시절과 성인 전기에 외향성이 올라간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처럼 모순된 결과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한가지 가능성은 성 역할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사춘기 후기에서 성인 후기에 걸쳐서 남성은 외향성이 높아지고 여성은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다른 가능성은 외향성의 다면적인 성질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외향성을 사회적인 장면에서의 우위성과 활력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오고 있습니다(Helson & Kwan, 2000). 이 두 가지의 외향성의 요소는 연령에 따라 다른 추세로 변화한다고 합니다(Roberts et al., 2006).

 

(3)   개방성

 

 개방성의 연령에 따른 변화에 대한 횡단연구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습니다. 21세부터 60세까지 연령에 따라 부의 상관을 보고하는 연구도 있지만 18세부터 75세까지의 기간 동안 개방성과 연령과는 유의한 상관이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4)   친화성(조화성)

 

 친화성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함께 높아진다 라는 일관된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Roberts et al., 2006). 복수의 횡단적 연구가 연령에 따라 친화성이 높아진다 라고 보고하고, 종단적 연구에서는 성인전기, 중년기, 고령기 각각의 시기에 친화성의 증대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21세부터 60세까지의 친화성의 증대를 관찰한 연구에서는 40세까지는 정체되어 있다는 것을 보고하기도 합니다(Srivastava et al., 2003).

 

(5)   성실성

 

 친화성과 마찬가지로 성실성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높아지게 됩니다(Roberts et al., 2006). 복수의 횡단적 연구가 연령에 따라 성실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 종단적 연구를 통하여 생애에 걸쳐서 성실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20대에 가장 현저하고, 30, 40, 50대에 완만히 높아진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Srivastava et al., 2003). 그러나 성실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자제심, 적합성, 좋은 인상, 강경성은 20대에서 70대에 걸쳐서 높아지는 반면, 책임감과 사회성은 낮아진다는 보고도 있습니다(Helson et al., 2002)

 

 자존감에 관한 집단 평균수준을 지표로 한 Aging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자존감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변하는가 아닌가에 대한 오랜 논의가 있었습니다(Trzesniewski et al., 2004). 9세부터 90세까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모두 3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횡단연구-

 자존감은 학령기, 사춘기, 성인기, 고령기 라고 하는 발단단계를 따르고 있습니다(Robins et al., 2002). 즉 학령기에 아주 높은 수치가 사춘기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낮아지고 성인기 전기부터 중기에 걸쳐 다시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성인기 후기부터 고령기에 걸쳐서 다시 낮아진다고 합니다.

 

이처럼 집단의 평균수준을 지표로 한 성격연구는 전 생애에 걸쳐서, 즉 중년기나 고령기에 있어서도 계속 변화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지만 그 변화율은 성인 전기를 거치면서 완만해 진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또 성격 특성 별로 다른 변화패턴을 나타내기 위해 일반적인 연령에 따른 변화를 대표 항목으로 제시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점, 집단의 평균수준으로서의 성격특성에는 출생시기에 따른 생육환경(코호트)의 차이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 추적기간이 길면 길수록 변화가 크게 되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1 4. 장수하는 사람의 성격특성

 

장수하는 사람은 종종 장수의 비결로서 조급해 하지 않고 웃으면서 지낸다는 식으로 성격특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과연 장수와 성격특성은 관계가 있을까요?

최근 어떤 성격특성이 특정의 건강행동이나 건강상태에 개입하여 장수와 연관되는지 연구한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주로 2가지의 시점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첫 째, 성격의 개인차가 건강행동의 차이를 만들어 그 결과로서 수명의 차이를 가져온다는 관점입니다. 두 번째, 성격의 개인차가 정신질환이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차이를 만들어 그 결과로서 수명의 차이를 가져온다는 관점입니다.

 

 첫 째 관점에 대하여 성실성 경향과 남은 수명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성실성이 낮은 집단은 빨리 사망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Friedman et al., 1993; Wilson et al., 2004). 이러한 것은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할 수 있고, 신중하고 주의를 기울일 수 있는 특성인 성실성이 높은 사람이 리스크 회피적인 생활습관을 획득하여 장수하게 되는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 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여 성격특성과 흡연습관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서 흡연을 계속하고 있는 고령자는 신경증 경향이 높고, 친화성, 성실성이 낮은 성격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Terracciano & Costa, 2004). 또 최근의 메타분석에 의하면 정기적인 운동습관과 같은 건강을 증진시키는 행동은 성실성과 정의 상관을 보이고, 반대로 과도한 음주나 불법약물 이용, 위험운전, 섭식이상, 자살, 폭력행동 등과 같은 건강을 해치는 리스크 행동은 성실성과 음의 상관을 나타낸다고 합니다(Bogg & Roberts, 2004).

 

두 번째 관점인 성격특성과 정신적 건강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정신질환의 病前성격에 관한 연구문헌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5요인 모델의 신경증 경향은 우울증 둥의 정신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고, 70세에서 80세 전반까지의 고령자를 추적하여 잔여수명과 신경증 경향과의 관련을 조사한 종단연구는 신경증 경향이 높은 집단은 상대적으로 사망률이 높고, 우울증에 걸리기 쉬울 뿐 아니라 재발하기도 쉽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특정의 정신질환이 발병하는 생물학적 취약성은 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스트레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기 쉬운 성격특성과 인지특성으로서 발현하여 정신적 건강을 좌우함으로써 생존연수에 차이를 가져온다는 해석을 할 수도 있습니다.

 

2.     고령기의 적응과 성격의 생애발달

 

 앞에서 언급한 바 있지만 발달이라고 하면 청년기까지만을 이야기하고 그 이후는 발달이 아니라 쇠퇴, 상실의 연속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발달을 생애에 걸친 적응과정으로 생각하여 일생 동안 계속 발달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주류가 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여러 가지 성격에 관한 생애발달이론 중에서 P. B. Baltes, E. H. Erikson, L. Tornstam의 관점을 알아보겠습니다

 

 2 1. Baltes의 지혜 연구와 성격

 

 발테스는 고령기가 되어도 쇠퇴하지 않을 것 같은, 문해력(literacy)이나 인생의 여러 사건을 통찰하는 지혜(wisdom)에 주목을 하여, 이런 것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속도나 신체능력의 손상을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지혜는 성인기 이후의 발달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테마의 하나입니다. 에릭슨의 이론에서 거론된 이후로 지혜는 심리사회적 측면에 있어서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의 이상적 도달점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단 지혜를 인생에서 조우하는 근본적이고 어려운 문제에 숙달된 지식이라고 정의하여, 지식의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연구한 발테스에 따르면, 지혜에 관련된 과제성적(wisdom-related performance)은 성격의 척도 점수로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습니다. 또 지능검사의 점수로도 충분히 설명되지 않아서 지능의 높음이나 원만한 성격 등과는 다른, 보다 역동적인 정보처리 형태로 생각됩니다.

 

 발테스는 지혜와 관련된 인지과제 성적과 나이 듦과의 관계를 검토했습니다. 그 결과, 사춘기에서 청년기 전기에 걸쳐서 연령에 따라 지혜와 관련된 과제의 성적이 향상된다는 것, 성인기 이후는 집단의 평균수준으로서의 변화가 적게 나타나서 고령자들의 지혜가 특별히 발달한다 라고 결론 내리기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Pasupathi & Baltes, 2000). 이런 결과에 대하여 Suzuki(2008)는 지혜에 관계된 과제성적이 단순하게 인생경험을 쌓는 것으로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연령에 따라 지혜를 획득하는 개인과 그렇지 않은 개인이 섞여 있어서 평균수준으로서는 젊은 성인과 고령 성인과의 차이가 잘 보이지 않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습니다.

 

2 2. 에릭슨의 생애발달이론

 

 에릭슨은 1959, 자아의 발달을 촉진하는 다양한 심리사회적인 과제에 착안하여 생애발달이론을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인간의 자아는 개체발생의 과제에 있어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적정하게 분화, 발달하는 과정을 8단계로 제시했습니다. 여기서 인생의 각 성장단계에 전경화(前景化: foregrounding- 특정 개념을 먼저 언급하거나, 되풀이하거나, 또는 다른 주의 끌기 장치를 사용하여 주의의 초점이 되도록 만드는 .)한 이항대립적인 인격발달상의 과제를 제시하고 과제를 완수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덕목을 언급하고 있습니다(Erikson et al., 1986). 과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심리적인 위기를 경험하게 됩니다. ‘사람은 보통 이와 같이 발달한다라는 기술적인 요약이 아니라 선행하는 세대가 후세에 대하여 생애발달의 질서를 나타내고 사회 환경에 부응한 성장의 코스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Erikson, 1980). 다음 세대의 개인은 가이드에 따라 앞을 전망하면서 성장하고 어른이 되고 노후를 맞이하는 일련의 발달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이드의 내용은 고정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의 변천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에릭슨의 부인인 J. M. Erikson은 에릭슨 사후에 완성한 보정판에서 평균수명의 연장을 감안하여 9단계를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Erikson & Erikson, 1986). 그런데 각 발달과제는 어느 시기가 되면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잠재적인 발달의 가능성을 계속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해야 할 것입니다. 에릭슨은 발달을, 신장과 체중의 변화처럼 능력의 양적인 증감으로서 다루지 않고 새로운 과제나 경험과 같은 외적인 압박을 받는 가운데 그때까지의 심리적 사회적 프레임을 교체한다고 하는 질적인 전개(evolvement)를 수행하는 것으로 다루었습니다.

 

사회심리갈등

시 기

덕 목

 덕 목

영향을 주는 관계

사회심리적 양태

기본적 신뢰: 불신

유아기 

(1)

희망 

(Hope)

탐식 

(Gluttony)

어머니

얻으려 함 

(getting)

자율성: 수치와 의심

전기아동기 

(2-3)

의지 

(Will)

분노 

(Anger)

부모

잡고holding on

보냄letting go

주도성: 죄책감

놀이기 

(4-5)

목표 

(Purpose)

탐욕 

(Greed)

가족

추구go after

things, 오디프스

근면: 열등감

학령기 

(6-11)

능력 

(Competence)

시기 

(Envy)

학교

만듦 

(making things)

정체성: 정체성혼란

청소년기 

(12-20)

충실 

(Fidelity)

자만심 

(Pride)

동료그룹

자신이 됨

(being oneself)

친밀감: 소외

초기성인기 

(21-34)

사랑 

(Love)

정욕 

(Lust)

결혼상대자

친구들

자아상실(남과 나눔Losing oneself

생산성: 침체

성인기 

(35-60)

돌봄 

(Care)

무관심 

(Indifference)

자녀, 젊은이

돌봄 

(taking care of)

통합: 절망과 혐오감

노인기 

(60- )

지혜 

(Wisdom)

우울 

(Melancholy)

살아있는 

전통

to be, through

having been

 

일반적으로 중년기에 들어서면서 서서히 늙어 간다는 것을 느끼는 사람이 늘어납니다. 그것은 체력이나 신체기능이 쇠퇴하고 그와 함께 노화와 죽음에의 불안이며 남은 인생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제한된다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불안의 한 가운데 있다 해도  중년기는 부모로서 자녀들을 사회에 진출시키고 자녀로서 부모를 봉양하며, 사회에서 중심 구성원으로 기능하고, 기업활동에 있어서도 관리직을 맡는 등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며 시간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충실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로우와 칸(Rowe & Kahn, 1987)병이나 장애가 없고, 그 위험이 적을 것’ ‘높은 신체기능과 인지기능을 유지하고 있을 것’ ‘인생에의 적극적 관여: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주위 사람과 사회에 도움을 주는 활동을 하고, 생동감 있게 살아가는 것’, 3가지 요건을 만족시키는 노화의 모습을 Successful Aging이라고 했습니다. 그 후 현재까지 이와 유사한 모델에 기초하여 Successful Aging을 연구해 오고 있습니다. 확실히 많은 사람에게 있어서 중년기에서 고령 전기에 걸쳐있는 시기는 자신의 노화를 느끼면서도 사회적응적인 방식으로 다음 세대에 주도권을 넘겨주고 은퇴 후의 새로운 생황에 다시 적응하는 Successful Aging을 목표로 전향적인 노력이 가능한 시기입니다. 에릭슨은 이 시기의 발달과제로서 통합-절망이라는 기능 축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절망의 가능성과 통합의 달성 간의 긴장을 극복하기 위하여 죽음에 다가가면서 삶 그 자체에 대하여 충분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억매이지 않는 관심인 지혜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습니다(Erikson, 1997).

 

 그러나 75세를 지나 고령 후기, 초고령기에 다다르면 제 8단계의 위기를 극복한 자아라 하더라도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이 요구됩니다(Erikson & Erikson, 1997). 즉 로우와 칸(Rowe & Kahn, 1987)이 말한 것 같은 Successful Aging을 지향하는 것이 가능했던 고령 전기와는 다른 부양의 필요와 신체기능의 저하, 동년배의 사망으로 고립이 심해지는 것과 같은 심리사회적으로 지나치게 가혹한 상황이 두드러지게 됩니다. 이와 같은 위기적 상황을 넘어서는 것을 제 9단계라고 하고 이 단계를 거쳐 사람의 자아가 도달하는 상태를 노년초월(gerotranscendence)라고 했습니다.

 

[노년초월(Gerotranscendence)이란 Tornstam(1994)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었고 또한 에릭슨 부부가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이론을 제9단계로 확대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Erikson & Erikson 1997).]

 

 

 2 3. Tornstam老年超越 이론

 

 [Tornstam의 노년초월이론은 Cumming Henry의 분리이론(Disengagement Theory), 불교의 선()사상, Fromm의 정신분석론, Peck의 중노년기, 노년기 발달과업이론, Jung의 개인화 이론 등에서 개념적 기초를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Tronstam, 2005).]

 

노년초월은 Tronstam(1989)에 의해 제창된, 일부의 고령자가 달성하는 단계입니다. 노년초월은 물리적으로 합리적인 세계관에서 우주적으로 초월적인 세계관으로의 메타지식에 있어서의 이행이라고 개념적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노년초월을 달성한 개인은 사회적 개인적 관계의 영역’ ‘자기의 영역’ ‘우주적 영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추고, 그 특징의 획득과 아울러 생활만족감을 상승시킨다고 생각됩니다(Nakagawa, 2008).

 

즉 첫 째, 표면적인 인간관계를 경시하고, 사회적 지위나 부에의 집착이 줄어들고, 권선징악적인 사고에서 벗어난다 라는 것과 같이 사회나 개인과의 관계가 변화합니다. 그리고 둘 째, 자기개념의 변화가 일어납니다. 구체적으로 심신 양면에서 자기에게 집착하는 일이 줄어들고 이타적인 사고로 전환됩니다. 또 인생을 총결산하고 자아통합성이 증가합니다. 셋 째, 현재 과거 미래라고 하는 시간과 공간의 구별이 줄어들고 조상이나 인류전체, 우주 등과의 일체감과 신비성을 실감하게 됩니다. 또 죽음에 임하는 자세가 바뀌고 죽음의 공포가 없어집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주적 의식의 획득이라고 일컬어 집니다.

 

 이상과 같은 노년초월의 제기에 의해 초고령기에 있어서의 성격발달에 관심이 집중되게 되고 아직 많지는 않지만 이론에 기초한 실증적 연구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노년초월이론을 고령기에 있어서 spirituality 발달이론과 함께 검토하는 연구나 노년초월 측정척도를 작성하고 관련요인을 검토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증데이터도 미흡하고 이론적 모순도 지적되고 있어 이론의 정밀화를 위해서는 향후 보다 진전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3.     마무리

 

 지금까지 성인기 이후 특히 고령기에 걸쳐서의 성격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하여 실증적 연구의 성과와 대표적 이론 연구의 일부를 살펴보았습니다. 고령이 되어 기억력이 감퇴하여 많은 것을 기억하지 못하게 되었다라고 하면 상실의 측면이 강조되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메모를 하거나 도구를 이용하는 등 기억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함으로써 기억력 저하를 보충하면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환경변화에의 적응적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언가 상실한다고 하는 것은 무언가 획득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고 이는 에릭슨이 지적한 대로 사람은 일생을 통하여 신체의 성장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새로운 능력을 획득해 나가는 것입니다. 고령기에 있어서 발달을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관점이 중요한 것입니다. 나이 듦에 따른 성격의 변화는 개체발생에 있어서 환경적응적인 여지의 존재를 가르쳐주는 귀중한 창구입니다.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사회와 개인의 행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연구의 진전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참고]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적정화 모델(SOC 모델)

 

노년학을 오랫동안 연구해온 Baltes Baltes(1990)는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발달심리학의 관점에서 성공적인 노화이론으로서 SOC모델(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을 제시했다. SOC모델은 성공적 노화를 비롯한 인간개발 연구 및 인간의 전 생애 발달이 선택(selection), 적정화(optimization), 보상(compensation)이라는 세 가지 생애전략과 관련된 과정으로 보았다. 즉 선택. 적정화. 보상 모델은 한 개인이 노화과정에 따라 어떻게 적절하게 대응하고 활용하느냐 하는 문제, 생애과정에서 노화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성공적 노화 수준을 연구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견해이다.

 

다시 말해 생애목표 및 건강 유지 등 개인의 선택은 사회문화, 신체적 조건, 생물유전요소(phylogentic)들에 영향을 받는다. 연령증가로 인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영역 등에서 잠재능력과 기술의 쇠퇴를 경험하게 되지만 생애과정에서의 어떤 선택, 적정화, 그리고 보상전략을 통해 감소/변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여기서 우선 ‘선택’은 주어진 환경 속에서 개인의 생활목표(신체적 건강, 가치 등)에 대한 기회와 기능, 역할의 범위를 고려해 활동의 양과 질 및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 ‘최적화’는 다양한 수단과 방법으로 개인이 선택한 목표와 영역을 최대한 달성하는 일이다. 자신의 강점과 잠재적 기능을 동원해 성공적인 사회활동은 물론 건강관리, 레저생활, 사회봉사 등으로 노후생활을 활기차게 만드는 일이다. 마지막으로 ‘보상’은 활동의 제약과 질병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긍정적인 역할로, 그리고 주위의 자원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나가는 것이다. 이렇게 될 때 노화의 주관적인 요소인 정서적인 웰빙, 삶의 만족이라는 보상을 얻게 된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Freund Baltes(2007), Freund(2008)는 개인이 연령 증가에 따른 신체의 손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있는 가능한 자원을 동원할 때 성공인 삶을 살아 갈 수 있다는 점에서 계속 인간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신체의 조건과 외부 환경, 사회적 지원의 상호작용에 따라 개인적 노화 정도가 달라진다고 하면서 성공적 노화의 7가지 전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정상적이며 적정한, 그리고 병리적인 노화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와 다양성이 있다고 본다. 정상적(normal) 노화는 신체적 질병이나 정신적인 병리현상이 없이 나이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적정한(optimal) 노화는 발달을 증진시키고 노화에 우호적인 환경 속에서 늙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병리적(pathological)노화는 치매와 같은 질병에 의해 노화가 오는 것을 말한다.

 

둘째, 성공적인 노화에는 많은 다양성과 개별성이 존재한다. 나이를 들어가면서 개인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신체의 손실을 방지하느냐 하는 선택의 문제, 사회 문화적 자원의 활용에 따라 노화 수준은 달라진다. 즉 노화에는 다양한 개인차가 존재하는데 이는 노화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조건, 생애과정에 따른 개인의 독특한 경험, 병리적 현상 등 여러 요인들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사회적 환경이 인간을 지배하고 있지만 이를 자신의 발전에 어떻게 적용해 좋은 환경으로 만드느냐에 따라 노화가 결정 된다.

 

셋째, 노년에도 젊은이 못지않게 잠재된 능력이 많이 남아 있다. 즉 손실을 피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과 의료적 조건이 갖춰져 있다면 많은 노인들이 행동, 인지, 심리사회 등 영역에서 높은 수준으로 기능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고, 나아가 신체적 기능유지에 필요한 새로운 자원을 습득 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고 행복한 노후 생활을 만들어 갈수 있다.

 

넷째, 지식과 기술은 연령증가에 따른 인지적 기능의 쇠퇴를 보충해 줄 수 있다. 인간의 일 처리 능력은 감소하지만 지식의 증가는 지혜의 기초가 된다. 어떤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보조도구나 그 과업과 관련된 지식을 활용함으로써 쇠퇴된 인지적 기능의 쇠퇴를 보완 할 수 있다. 자신의 손실을 보상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 자신에게 남아있는 강점, 에너지를 최적화 나가는 일이다.

 

다섯째,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분(gain, 인지. 지혜)보다 감소분(loss, 건강상실)이 더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발달과정의 본질적 특성이며 동시에 노화에 따른 적응성 혹은 가소성(plasticity)이 상실 되는 것이다. 사실 노년기에는 부정적인 생각과 상실감이 생애 후반기로 갈수록 더 크게 작용한다. 그러므로 노화는 이득의 최적화 그리고 손실의 최소화에 달려 있다.

 

여섯째, 노년기 찾아오는 상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치 있는 활동(종교생활, 명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자아(self)를 찾고 삶의 통합을 위해 노년기에도 탄력적으로 인지 능력과 정서감을 높여가는 일이다. 실증적 연구들에 의하면 노인들의 주관적인 생활만족도나 통제감, 자기 효능감과 같은 자아와 관련된 보고에서는 노인들의 인지능력, 자아상승감은 젊은이들과 크게 다를 바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곱째 노년후기에 들어와 마지막 능력의 한계에 다다르면 노화에 따른 손실을 사실상 막을 수 없다. 해를 거듭할수록 신체에 전반적 손실이 커지면서 아무리 노년기에 잔여능력이 남아있다고 해도 기억 및 학습능력에 한계를 드러내게 된다. 어떤 훌륭한 노화방지 훈련이나 중재프로그램이 있어도 결국 한계에 직면하면서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상의 전제들을 고려할 때 SOC 모델은 크게 ‘선택과 손실’이라는 두 축에서 성공적인 노화과정을 설명한다. Rowe Kahn의 모델에서는 신체의 기능이나 활동수준 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SOC모델은 잠재된 능력에 집착하기 보다는 현재 보존하고 있는 능력을 최적화 하여 주관적인 만족을 이끌어 낼 것을 강조한다. 또한 Baltes Baltes는 성공적 노화란 어떤 흭일적인 모습이라기 보다는 선택, 적정화, 보상이라는 세 가지 요인과 관련된 일종의 적응과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SOC모델은 노화에 따른 상실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능력에 적합한 활동을 선택하고 보유한 기술을 최적화하여 상실한 것을 보상함으로써 성공적 노화에 이를 수 있다는 결론이다. 특히 나이가 들어가면서 현명한 선택과 집중,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 자원의 활용이 성공적 노후의 삶을 결정한다. 그런 점에서 SOC모델은 노인들이 집에 머물 것인지 요양원에 갈 것인지의 여부, 그리고 특정장애자들이 어떻게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최적화 할지를 결정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그러므로 노인건강 관련 전문가들을 비롯한 의사나 간호사들이 노년층에 대한 건강검진, 치료 방향 등을 결정하는데 매우 유효한 이론으로 간주된다.()

 

<참고자료>

Baltes, P. B., Baltes, M. M.(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M.M. Baltes(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pp.1-3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Freund, A.M.(2008), Successful aging as a management of resources: The role of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Research in Human Development, 5, 94-106.

Freund, A.M., and Baltes, P. B.(1998).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as Strategies of Life Management: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and Indicators of Successful Aging, Psychology and Aging, 13. 531-543.

우 정(자유기고가, 사회학)작성일자: 2014. 8. 3.최종수정: 2014. 8. 11.

[출처]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적정화 모델(SOC모델)|작성자 물푸레